90년대 한국 드라마 장르 (멜로, 사극, 가족)
1990년대 한국 드라마는 멜로·사극·가족극이 삼각축을 이루며 문법을 정립했습니다. 본 글은 이 세 장르의 미학적 특징과 편성 방식, 캐릭터 설계, 음악·미술·연출 톤, 그리고 당시 시청 행태와 광고·PPL의 변화를 연결해 입체적으로 정리합니다.멜로: 감정선 중심의 서사, 스타 시스템, OST 드리븐90년대 멜로는 ‘감정의 고조’가 이야기 엔진이었습니다. 분기점마다 사건을 겹겹이 쌓기보다, 이별·오해·재회 같은 감정 변주를 중심으로 회차를 전개했고, 그 과정에서 장면 대사와 시각적 모티프(편지, 비, 창가, 버스 정류장 등)가 반복되며 상징성을 키웠습니다. 인물 설계는 선명했습니다. 자기희생적 주인공, 카리스마 있는 라이벌, 가족의 반대나 신분·경제 격차 같은 외부 장벽이 전형적 갈등 축이었죠. 연출 톤..
2025. 11. 7.
우리나라 드라마 IP, 리메이크, 컬래버
1990년대 이후 한국 드라마는 원천 IP의 자산화, 해외·국내 리메이크의 정교화, 글로벌·산업 간 컬래버 확대로 성장 엔진을 바꿨습니다. 본 글은 IP, 리메이크, 컬래버 세 축을 통해 2025년까지의 흐름과 성공 전략, 제작·유통·수익 구조 변화를 한눈에 정리합니다.IP: 원천의 자산화와 세계관 비즈니스, 데이터 기반 운영한국 드라마의 IP 전략은 “한 편의 히트작”에서 “확장 가능한 자산”으로 관점이 전환된 데서 출발합니다. 2010년대 중후반부터 웹소설·웹툰·게임·라디오·다큐·실화 르포 등 소스가 폭넓게 소싱되며, 기획 단계에서부터 드라마-영화-애니-굿즈-전시-OST-게임 이벤트로 확장 가능한 ‘월드 빌딩 캔버스’를 준비합니다. 특히 웹툰/웹소설 발 IP는 선(先)팬덤·데이터를 갖고 있어, 캐스팅..
2025. 11. 7.